본문 바로가기

Health

ADHD 원인 -임신 중 해로운 음식물 섭취가 연관될 수 있음

ADHD 원인 - 임신 중 해로운 음식물 섭취가 연관될 수 있음



어렸을 때 조금이라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정신산만하게 행동하는 짝꿍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왜 그런지 몰랐지만 성인이 되어서 ADHD 증상이 있었던 짝꿍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과잉행동, 주의산만, 충동성 등이 주된 증상으로 보통 초기 아동기에 발생하는 정신질환입니다.





입학하기 전에는 씩씩하고 남자다운 아이로 별거 아닌듯이 보다가 입학하고 나서 단체생활을 하면서 문제를 인식하게 되는 ADHD 입니다.





ADHD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 매우 큽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부모에게도 있다면 그 자녀 중 57%가 ADHD에 발생확률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사회심리적 요인이나 신경학적 요인이 있다고 합니다. 이에 흥미로운 글을 읽었습니다. ADHD 원인으로 임신했을 때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었을 때 생길 수 있다는 연구보고서가 있습니다.




임신 중 고지방, 고설탕 식이요법이 어렸을 때 어린이의 ADHD 원인과 관련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밝혀졌습니다. 초기 발병 행위 문제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는 아동 정신 건강 진찰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 두 질환은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산모의 고통 또는 영양 부족과 같은 태아의 경험과 매우 유사합니다.




킹스 칼리지 런던 (King's College London) 대학과 브리스톨 대학 (University of Bristol)의 과학자들이 이끄는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신 초기 고지방 고설탕 섭취가 초기 ADHD 증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에 게재된 이 연구는 출생시 명백한 변화가 건강에 해로운 식이요법이 행동 장애 및 ADHD 원인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음이 최초로 밝혀졌습니다.


초기 발병 행위 문제 (예 : 거짓말, 싸움) 및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는 영국에서 아동 정신 건강 진찰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 두가지 질환은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동 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의 40% 이상이 ADHD 진단을 받습니다.) 또한 산모의 고통이나 영양 부족과 같은 태아의 경험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브리스톨에 기반을 두고 있는 '90년대 어린이 집단'의 참가자에 대한 이 새로운 연구에서, 조기 발병 문제가 있는 83명의 어린이를 저조한 행동 장애가 있는 81명의 어린이와 비교했습니다.


연구진은 산모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IGF2의 후생적인 변화 (또는 DNA 메틸화)와 ADHD와 관련된 소뇌 및 해마의 뇌발달에 어머니의 영양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IGF2의 DNA 메틸화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네덜란드에 있는 기근에 드러난 어머니의 아이들에게 이전에 있었습니다.




킹스와 브리스톨의 연구원은 가공 식품과 과자의 고지방과 설탕으로 구성된 빈약한 산전 영양은 조기 발병 문제와 저조한 문제가 있는 소아들에게서 높은 IGF2 메틸화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킹스 칼리지 런던 (King's College London)의 Edward Barker 박사는 "태아의 영양 부족이 IGF2 메틸화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임신 중에 건강한 식이 요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태아기 식단을 통해 궁극적으로 ADHD 증상을 낮추고 어린이들에게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것은 영양 및 후성 위험 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고무적입니다.


Edward Barker 박사는 "우리는 지금보다 구체적인 영양 유형을 조사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물고기, 호두, 닭고기에서 나오는 오메가 3 지방산 같은 것은 신경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는 이미 어린이들을 위한 영양 보충제가 ADHD를  낮추고 문제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 이 과정에서 후생적 변화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